진박새
서식☞ 유럽에서 동아시아까지 유라시아대륙에 폭 넓게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흔하게 번식하는
텃새이며(박새, 쇠박새보다 서식밀도가 낮다), 일부 무리가 가을 이동시기에 서해의 외딴 섬을 통과해 남하한다.
행동☞ 고지대에서 저지대 평지에 이르는 다양한 곳에서 서식하며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림에서 먹이를 찾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비번식기에는 다른 종과 혼성해 먹이를 찾는데 땅에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 침엽수에 매달려 곤충이나 씨앗을 먹는다.
번식기에 고도가 높은 지역을 선호한다. 포란기간은 14~15일이며 새끼는 부화 15~16일 뒤에 둥지를 떠난다.
특징☞ 소형이며 통통하다. 날개에 흰 줄이 2열 있다. 뒷머리에 검은색 깃이 돌출되었다.
뺨과 뒷목은 때 묻은 듯한 담황색을 띠는 흰색이다.
몸아랫면은 흰색이며 옆구리와 가슴옆은 때 묻은 듯한 담황색이다. 꼬리가 약간 짧다.
몸윗면에 녹색이 약하게 있다. 턱밑과 멱의 검은색 폭은 성조보다 좁으며 가슴 색과 경계가 불명확하다.
성조의 흰색인 부분이 전체적으로 엷은 녹황색이다.
'▣ 조류&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봉산 동고비 (0) | 2018.03.07 |
---|---|
직박구리 (0) | 2018.03.07 |
서울올림픽공원 어치 (0) | 2018.02.22 |
남이섬의 날지 못하는 새(거위&공작&타조) (0) | 2018.02.01 |
예봉산 정상에서 만난 곤줄박이 (0) | 2017.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