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숲 옆 삼표 시멘트공장
성수대교
강변북로
응봉산 팔각정
강건너 강남구 압구정 현대아파트
살곶이다리는 조선의 수도인 한성부와 한반도 남동부를 잇는 주요 교통로에 세워진 다리로 강릉·충주 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였다. 전곶교(箭串橋)라고도 한다. 현존하는 조선 시대 돌다리 중 가장 길다. 살곶이다리는 1420년(세종 2년)에 다리를 짓기 시작해 1483년(성종 14년)에 완공했다.
명칭에 대해서는 '제반교(濟磐橋)', '전곶교', '전관교(箭串橋)' 등 다양한 이름이 있지만 '살곶이다리'나 '전곶교'가 맞고 한자 이름 ‘箭串橋’는 ‘전관교’가 아니라 ‘전곶교’로 읽는 게 옳다고 한다. 1967년 12월 15일 사적 제160호로 지정 되었으나, 2011년 12월 23일 이를 해제하고 대한민국의 보물 제1738호로 지정하였다. 대다수의 석교 문화재가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고 사적 지정요건인 인물, 역사, 사건 등을 고려해볼 때 유형문화재로서의 성격이 강하므로 사적을 해제하고 보물로 변경 지정하였다.
조선시대 만들어진 전곶교(살곶이다리 보물 제1738호)
조선시대의 수도인 한양과 동남지방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로 사용되던 다리로, 원래의 이름은 제반교(濟盤橋)였다.
살곶이 공원
못난이 삼남매처럼 닮았네요
반사경 거울
'▣ 서울특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궁궐 경복궁 [景福宮] (경회루&향원정) (0) | 2016.02.27 |
---|---|
봄을 기다리는 서울 숲 (0) | 2016.02.25 |
눈내리는 서울 숲 풍경 (0) | 2016.01.26 |
서울숲의 소소한 겨울 풍경 (0) | 2016.01.21 |
서울 중곡동 아차산 일요 산행 (0) | 2016.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