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상남북도

경북 영주의 천년고찰 부석사(浮石寺)

부석사 초입의 물안개 인공폭포

부석사 일주문

  라의 불교는 눌지왕 때에 들어와 법흥왕 때에 수용된 뒤에 크게 발전하였다.

  중국을 통하여 전입된 교학 불교는 신라 불교로 하여금 종파성을 띠게 하였는데 가장 특징적으로 운위되는 종파는 화엄종과 법상종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전법 사실이 뚜렷하고 종찰이 확실한 것은 의상의 화엄종이다.
  부석사는 우리나라 화엄종의 본찰로 초조인 의상 이래 그 전법 제자들에 의해 지켜져 온 중요한 사찰이다.
  의상은 676년 부석사에 자리잡은 뒤 입적할 때까지 이곳을 떠나지 않았고 그의 법을 이은 법손들 역시 마찬가 였다.

  부석사 원융국사비에는 지엄으로부터 법을 전해 받은 의상이 다시 제자들에게 전법하여

  원융국사에까지 이른 것과 원융국사가 법손이 된 뒤 부석사에 자리잡았다는 사실 등이 밝혀져 있다.

 부석사☞ 명칭은 무량수전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위에 있는 바위가 서로 붙지않고 떠있어 뜬돌이라 부른데서 연유하였다고 한다

 신라의 불교는 눌지왕때에 들어와 법흥왕때에 수용된 뒤에 크게 발전하였다,중국을 통하여 전입된 교학 불교는 신라불교로 하여금 종파성을 띠게 하였는데

 가장 특징적으로 운위되는 종파는 화엄종과 법상종이다.그 가운데에서도 전법 사실이 뚜렷하고 종찰이 확실한것은 의상대사의 화엄종이다.

 부석사는 우리나라 화엄종의 본찰로 초조인 의상대사 이래 그 전법 제자들에 의해 지켜져온 중요한 사찰이다.

 의상대사는 서기 676년(신라 문무왕 16년) 부석사에 자리 잡은뒤 입적할때까지 이곳을 떠나지 않았고 그의 법을 이은 법손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부석사 원융국사비에는 지엄으로부터 법을 전해 받은 의상이 다시 제자들에게 전법하여 원융국사에까지 이른것과 원융국사가 법손이 된 뒤

 부석사에 자리잡았다는 사실등이 밝혀져 있다. 부석사는 신라 때인 676년(문무왕 16)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

 의상대사는 널리 알려져 있듯이 원효 대사와 함께 한국 불교의 위대한 성인으로 추앙받는 분이다. 대사는 671년 당나라에서의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태백산에서 화엄학을 강설하였다. 이후 676년 2월 문무왕의 명에 따라 부석사를 창건하여 본격적으로 신라 화엄의 근본도량으로 삼았다.

 부석사를 정식으로 창건하기 이전에도 이 자리에는 의상 대사가 머물던 가람이 있었을 것이다. 이곳에 머물며 국왕의 자문역할을 맡았고,

 국왕은 대사의 뛰어난 학문과 지혜를 공경하며 대가람을 건립해 주었던 것이다.

 

 3층석탑 ; 서탑과 동탑의 쌍탑(유형문화재 제130호)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삼층석탑의 양식을 가지고 있으며 건실하고도 장쾌한 느낌이 든다.

일주문을 거쳐 천왕문을 지나면 가파른 계단, 몰아쉬는 숨을 들이키면 범종루가 눈앞에 들어온다.

 이어,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되었다는 동탑과 서탑이 나란히 반기고 서 있다.

이 탑은 원래 부석사 동쪽 일명사터에 있던 것을 1966년 경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온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석사의 경관을 흐트리지않고 잘 조화되어 있다.

탑은 지석대 위에 상·하층 기단을 쌓고 우주와 탱주를 각각 새겨 격식을 갖추고 있다.

서탑에는 익산 왕궁리 5층탑에서 가져온 석존사리 5과가 분안되어 있다고 전해진다

서탑

봉황산 범종루

서탑

 

 

 

 

 

 

 

 

 

 

 

 

 

안양루(안양문)

 

 

봉화사 석등(국보 제17호)

 

 

 

단풍이 곱게 물든 풍경을 다시 한번 담고 싶은 장소

선묘 낭자의 전설이 깃든 선묘각

 

부석사 무량수전 (국보 제18호)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으므로 무량수불로도 불리는데 '무량수'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건물 가운데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인정되기로는 안동 봉정사 극락전이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로 알려져 있지만

건물 규모나 구조 방식, 법식의 완성도라는 측면에서는 무량수전에 비하여 다소 떨어진다.

그러므로 무량수전은 고대 불전 형식과 구조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중요한 건물이다.

 

이 불상이 바로 국보인 소조여래좌상 일명 아미타 여래좌상

 

 배흘림 기둥

착시를 막기 위한 목적 외에 혹시 다른 이유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글이 있다

단순한 이유  즉 아래 위 기둥의 폭을 줄이면 기둥이 놓여지는 상하 보와 석축 크기를 작은 크기의 돌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목수가 아무 생각없이  돌 크기를 줄일 목적으로 배흘림 기법을 사용하였을 수도 있다고 전해저 온다.

 

 

 

쇠종 범종각

 

 

삼성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