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靑瓦臺)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번지 (1991년 본관 준공, 총면적, 25만 3,505㎡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에 위치한다. 북악산을 배경으로 한 이 건물은 대통령 집무실을 비롯하여
회의실·접견실·주거실 등이 있는 2층 본관과 경호실·비서실 및 영빈관 등 부속건물이 있고,
정원과 북악산으로 이어지는 후원 및 연못 등의 미관을 갖추고 있다.
1948년 8월 정부수립 후, 1960년 8월까지 이승만(李承晩) 대통령의 명명으로
제1공화국의 대통령 관저명 ‘경무대(景武臺)’로 불려오다가,
그 해 8월 13일 제2공화국 대통령으로 윤보선(尹潽善)이 선출되어 입주하면서 청와대로 개명하였다.
이 명칭은 대리석으로 된 본관 건물이 청기와로 이어져 있는 데서 연유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청와대 터는 고려시대 남경(南京)의 이궁(離宮)이 있던 곳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1426년(세종 8)에 창건된
경복궁의 북문인 신무문(神武門) 밖으로 후원에 해당하는 이 지대를 경무대라 하였다.
북악산 산록에 위치하여 서울 장안을 전망할 수 있는 이 경무대는 어영(御營: 조선시대, 인조반정 뒤에 조직한 군대의 하나)의 연무장(鍊武場)이나 과거장(科擧場)으로서, 또는 친경(親耕)의 장소로 사용되었다.(생략)
영빈관(외국 대통령이나 총리등 국빈 방문시 공연괴 만찬등의 공식 행사장)
청와대 본관(청와대 중심 건물로 대통령 집무와 외빈, 접견등을 위한 공간)
대통령 직무실
무궁화실(영부인 접견실,직무실)
청와대 대정원
대통령 관저입구
대통령 관저(대통령과 그 가족의 거주 공간)
산책길(대통령 관저 뒤편 산책길을 오르면 오운정 정자와 미남불상 관람)
오운정(경복궁 후원에 있던 오운각의 이름을 딴것)
오운정( 오색 구름이 드리운 풍광이 마치, 신선이 노는것과 같다는 의미)
미남불((경주 방형 대좌석조여래좌상)
미남불(2018년 보물로 지정, 9세기에 조성된 통일신라 불상 조각의 높은 수준을 알 수 있는 문화유산)
한시간 정도 청와대 관람을 모두 마치고 정문 출구로 나와 경복궁역으로...